"만약 당신이 다른 트레이더들의 주문과 의도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면, 당신의 트레이딩은 어떻게 달라질까요?"
수많은 트레이더들이 과거의 가격 움직임을 기록한 '차트'라는 지도를 보고 미래를 예측하려 합니다. 하지만 Bookmap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시장의 '엑스레이'처럼 지금 이 순간, 가격 뒤에 숨겨진 진짜 힘의 분포와 흐름을 우리 눈앞에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PropKorea에서는 이 강력한 도구를 통해 매일 시장을 분석하고 있으며, 이 글을 통해 왜 Bookmap이 당신의 트레이딩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는지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Bookmap은 수많은 정보를 담고 있지만, 가장 핵심적인 두 가지 요소만 이해해도 시장을 보는 눈이 달라집니다.
1. 히트맵 (Heatmap): 대기 중인 주문의 지도
히트맵은 아직 체결되지 않은 지정가 주문(Limit Order)들이 시장에 얼마나 많이, 어느 가격대에 쌓여 있는지를 색상의 농도로 보여줍니다. 즉, "나는 이 가격에 사겠다/팔겠다"고 대기 중인 잠재적 의도의 분포도입니다.
[가격]
↑ 15100.00 ░░░░░░░░░░░░░░░░░░░░░░░ <-- 유동성 낮음
| 15099.75 ░░▓▓▓▓░░░░░░░░░░░░░░░░░
| 15099.50 ███████████████████████ <-- '매도 벽': 강력한 저항 후보
| 15099.00 ░░░░░░░░░░░░░░░░░░░░░░░
↓ 15098.50 ████████████████ <-- '매수 벽': 강력한 지지 후보
----------------------------------> [시간]
해석: 진한 색상으로 표시되는 '거래 벽'은 강력한 지지/저항선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벽들이 어디에 있는지 아는 것만으로도 의미 없는 구간에서의 잦은 매매를 줄일 수 있습니다.
2. 거래량 점 (Volume Dots): 실제 체결된 전투의 기록
히트맵이 '의도'를 보여준다면, 거래량 점은 '행동'을 보여줍니다. 시장가로 공격적으로 체결된 실제 거래를 '점'으로 나타냅니다.
해석:
점의 크기: 체결된 거래량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큰 점은 대규모 자금이 격돌했다는 뜻입니다.
점의 색상: 거래의 방향성을 나타냅니다.
녹색/파란색 점: 공격적인 매수세 (상승 의지)
빨간색/주황색 점: 공격적인 매도세 (하락 의지)
더 나은 진입/청산: 히트맵의 '벽'을 활용하여 확률 높은 지지/저항 구간에서 진입하고, 불리한 구간을 피할 수 있습니다.
'큰 손'의 움직임 포착: 대규모 자금이 어디서 들어오고 나가는지(큰 거래량 점), 어디에 주문을 쌓아두고 있는지(히트맵)를 파악하여 시장 주도 세력의 움직임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시장 심리 파악: 가격이 특정 '벽'에 부딪혔을 때, 참여자들이 공격적으로 돌파를 시도하는지(큰 거래량 점 등장), 아니면 뒤로 물러서는지를 보며 현재 시장의 심리를 읽을 수 있습니다.
지지/저항 확인 매매: 강력한 매수 벽(지지선)까지 가격이 내려왔을 때, 공격적인 매도(빨간 점)가 점차 줄어들고 매수(녹색 점)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을 확인하고 진입하여 손익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돌파 확인 매매: 중요한 저항선을 가격이 돌파할 때, 그 돌파가 대규모 매수(큰 녹색 점)에 의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여 '진짜 돌파'와 '가짜 돌파'를 구별하고 추세에 합류할 수 있습니다.
흡수(Absorption) 현상 이용: 강력한 매도세(연속된 큰 빨간 점)에도 불구하고 특정 매수 벽에서 가격이 더 이상 밀리지 않는 '매도 흡수' 현상을 포착하여, 추세가 반전될 가능성에 베팅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는 Bookmap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일부에 불과합니다. 실제 트레이딩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더 깊이 있는 학습과 실시간 분석 경험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PropKorea 트레이딩 커뮤니티에 참여하셔서 진짜 정보를 얻어 가세요!
이메일로 받으신 User Name을 Your e-mail을 기입하라는곳에 넣어주세요. 즉, 이메일 주소를 넣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암호를 넣어주세요.
북맵 사이트에 로그인 후 Bookmap Portal 페이지에서 운영체제 선택 후 Download 버튼을 눌러서 다운 후 설치해주세요.
Login with browser 옵션을 선택
Use license key 선택 후 받으신 라이센스 키 입력
실거래 하실거면 Trading mode로 선택하시고 지금은 Simulation mode로 해봅니다.
우측 스크롤바 내리뒤 I understand and accept 눌러주세요.
두번째 동의확인서도 스크롤 내린뒤 I understand and accept 선택.
Bookmap update 화면이 뜨면 일단 설치를 추천하는건 왼쪽과 같습니다.
선택 후 Perform selected actions 눌러서 설치 해 주세요.
일단 기본접속인 Bookmap데이타와 지연된 dxFeed가 연결되서 이렇게 보이게 됩니다. BMD가 북맵데이타 피드아고 15분 지연데이타입니다.
Connections 누른 후 Confogure 눌러주세요.
ADD CONNECTION 누른 뒤 우측창을 옆과 같이 선택해서 셋업하시고 리드믹 접속 Username과 암호를 넣으시고 System과 Gateway도 맞게 설정 후 OK를 눌러주세요.
Connectins에서 방금 셋업한 Rithmic 데이타를 선택해주세요.
현재 BMD(북맵데이타)와 R+(리드믹) 2군데 접속되어 있다는 표시입니다.
차트를 처음 켜면 데이타가 별로 없는데 마우스를 아래로 스크롤 하면 차트화면 왼쪽에 위와같은 표시가 생깁니다.
거길 클릭하면 얼마나 데이타를 땡겨올지 물어보는데 맨 아래 선택해서 최대한 데이타를 땡겨올 수 있으면 땡겨오세요.
데이타를 땡겨오면 위 처럼 차트가 표시되는데 뉴욕장은 현재가 위 아래로 저렇게 토성고리띠처럼 마켓메이커들이 실제 체결시키지도 않을 혼란스런 주문이 표시되어서 매우 어지럽습니다. (예전엔 이러지 않았음)
그래서 필요한것이 Tradermap Lite addon 기능힙니다. Tradermap을 적용하시면 차트가 뉴욕장에서도 저렇게 깔끔하게 나오게됩니다.
한가지 단점은 Tradermap Lite이 적용되는건 새로운 차트에 적용이 되고 데이타 불러오기가 안되기때문에 북맵을 계속 켜 놓고 계셔야 데이타가 쌓입니다.
Addon들을 적용하는 방법은 북맵 상단의 메뉴에서 Configure add-ons를 선택 후 뜨는 창에서 작동을 시킬 add-on들을 체크표시 해 주시면 됩니다.
Tradermap Lite을 체크하시면 현재 ES차트 우측에 차트가 하나 더 뜬걸 확인하실 수 있을겁니다.
모든 설치가 끝난 모습입니다.
북맵으로 거래를 하는 방법은
다른 슬라이드 올려 놓은걸 참고해주세요.